
허상에 가까운 수평적 조직문화
우리가 조직문화를 논할 때 '이 회사는 조직문화가 수평적이다. 수직적이다.'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많이 들어왔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현실적으로 수평적인 조직문화라는 것 자체가 '허상'임을 깨달을 수 있다.
수평적인 조직이라 함은 '평등한 의사결정권한'을 전제로 해야 하는데, 회사에서 전 구성원에게 평등한 의사결정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 어떤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구성원들의 투표를 받아 진행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진정한 수평적 조직 "DAO"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정말 수평적 조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말이다. 바로 이런 조직을 'DAO"라고 부른다.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중앙 조직 없이 참여자들이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을 따라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DA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참가자들이 특정 코인이나 NFT 토큰을 이용하거나 발행하여 자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투표권을 얻어 조직의 운영 방식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신기하지 않은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말이다.
DAO 조직의 운영방법
현재 DAO 조직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초기 핵심 팀을 만들고 커뮤니티를 촉진하여 블록체인에 DAO를 배포하고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이러한 거버넌스 프로세스는 스마트계약에 의해 투명성과 보안을 보장받는다. 이를 통해 투표, 자금 배분, 기타 거버넌스 기능을 관리하고 지속한다.
구성원들은 스마트 컨트렉트를 활용하여 안건을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1 토큰=1표의 원칙을 적용하고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면 제안이 통과된다.
모든 투표 결과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하게 관리된다. 동시에 투표자의 익명성은 보장되어, 누가 어떻게 투표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를 통해 완벽한 수평적 의사결정 조직을 DAO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주요 DAO의 사례
주요 DAO의 사례는 아래와 같다.
1. 메타카르텔벤처스(MetaCartel Ventures): 투자 DAO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참여자들이 프로젝트 상태의 딜을 발굴하고 이에 투자하며, 수익을 나눠 가진다.
2. 넥서스 뮤추얼(Nexus Mutual):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전문 보험 DAO로, 가상 화폐 투자 상품의 해킹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 보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비츠(Beets): 음악 NFT 매입을 위해 만들어진 DAO로, 희귀 NFT인 '에그니마' 4종을 공동 매입했다.
4. Decentraland DAO : Decentraland DAO는 가상현실 플랫폼인 Decentraland의 거버넌스를 담당한다. 사용자들은 MANA 토큰을 사용하여 가상 토지를 구매하고, 플랫폼 내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Decentraland DAO는 이러한 활동의 규칙을 설정하고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결정한다.
5. Flamingo DAOFlamingo DAO는 NFT 중심의 DAO로, 블록체인 기반 자산에 대한 새로운 투자 기회를 탐색한다. 이 DAO는 투자자들이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상위 NFT 목록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창작자와 아티스트가 자산의 생성 및 사용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DAO의 미래기업들은 DAO의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폐쇄적이고 소수에 의사결정권한이 집중되어 있을 때 조직은 타락하고 망가질 수밖에 없다.
기업에 DAO 조직을 도입한다면, 수평적 의사결정구조를 통한 새로운 조직운영체계를 만들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DAO, 앞으로 HR 조직론의 새로운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허상에 가까운 수평적 조직문화
우리가 조직문화를 논할 때 '이 회사는 조직문화가 수평적이다. 수직적이다.'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많이 들어왔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현실적으로 수평적인 조직문화라는 것 자체가 '허상'임을 깨달을 수 있다.
수평적인 조직이라 함은 '평등한 의사결정권한'을 전제로 해야 하는데, 회사에서 전 구성원에게 평등한 의사결정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 어떤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구성원들의 투표를 받아 진행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진정한 수평적 조직 "DAO"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정말 수평적 조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말이다. 바로 이런 조직을 'DAO"라고 부른다.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중앙 조직 없이 참여자들이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을 따라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DA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참가자들이 특정 코인이나 NFT 토큰을 이용하거나 발행하여 자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투표권을 얻어 조직의 운영 방식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신기하지 않은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말이다.
DAO 조직의 운영방법
현재 DAO 조직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초기 핵심 팀을 만들고 커뮤니티를 촉진하여 블록체인에 DAO를 배포하고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이러한 거버넌스 프로세스는 스마트계약에 의해 투명성과 보안을 보장받는다. 이를 통해 투표, 자금 배분, 기타 거버넌스 기능을 관리하고 지속한다.
구성원들은 스마트 컨트렉트를 활용하여 안건을 제안하고 투표할 수 있다. 1 토큰=1표의 원칙을 적용하고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면 제안이 통과된다.
모든 투표 결과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하게 관리된다. 동시에 투표자의 익명성은 보장되어, 누가 어떻게 투표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를 통해 완벽한 수평적 의사결정 조직을 DAO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주요 DAO의 사례
주요 DAO의 사례는 아래와 같다.
1. 메타카르텔벤처스(MetaCartel Ventures): 투자 DAO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참여자들이 프로젝트 상태의 딜을 발굴하고 이에 투자하며, 수익을 나눠 가진다.
2. 넥서스 뮤추얼(Nexus Mutual):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전문 보험 DAO로, 가상 화폐 투자 상품의 해킹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 보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비츠(Beets): 음악 NFT 매입을 위해 만들어진 DAO로, 희귀 NFT인 '에그니마' 4종을 공동 매입했다.
4. Decentraland DAO : Decentraland DAO는 가상현실 플랫폼인 Decentraland의 거버넌스를 담당한다. 사용자들은 MANA 토큰을 사용하여 가상 토지를 구매하고, 플랫폼 내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Decentraland DAO는 이러한 활동의 규칙을 설정하고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결정한다.
5. Flamingo DAOFlamingo DAO는 NFT 중심의 DAO로, 블록체인 기반 자산에 대한 새로운 투자 기회를 탐색한다. 이 DAO는 투자자들이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상위 NFT 목록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창작자와 아티스트가 자산의 생성 및 사용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DAO의 미래기업들은 DAO의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폐쇄적이고 소수에 의사결정권한이 집중되어 있을 때 조직은 타락하고 망가질 수밖에 없다.
기업에 DAO 조직을 도입한다면, 수평적 의사결정구조를 통한 새로운 조직운영체계를 만들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DAO, 앞으로 HR 조직론의 새로운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