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침 7시부터 40분 정도 매일 전화 영어스피킹을 하고 있습니다. 외국계 회사를 한참 다닐 때는 어느 정도 듣고 말하기를 나쁘지 않게 했지만, 4년 이상 영어에 손을 놓으니 영어 실력이 다시 원점이 된 것 같습니다.
저는 내년도에 실리콘벨리 VC들을 만나 제 AI 서비스의 장점을 설명하고 투자를 받고 싶어 2개월 전부터 매일 하루 40분씩 전화영어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저를 자랑하고 싶어 이 글을 쓰는 게 아닙니다.
전화영어를 하며 브라질 선생님, 필리핀 선생님, 미국 선생님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해 보면 한국 취업 문화에 모두들 놀랍니다.
저는 이야기합니다. 한국은 "신입사원을 뽑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대기업들마저 신입사원들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신입사원이라 해도 바로 직무에 투입할 수 있는 "중고 신입사원"들을 원합니다.
미국에서는 인턴을 "정규직 채용형"으로 뽑습니다. 미국 회사들은 젊은 사람들의 Job training 비용을 회사의 몫이자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대학생 때부터 방학을 이용해 많은 인턴 경험을 합니다. 그리고 졸업할 때 인턴 경험을 한 회사들로부터 Job offer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릅니다. 많은 인턴제 일자리가 "정규직 채용형"이 아닙니다. 인턴사원들을 시간제 근로자처럼 사용하다가 맙니다. (모두라고 말하는 게 아닙니다. 정규직 채용형 인턴제를 실시하는 좋은 회사들도 많습니다.)
일석이조입니다. 국가의 지원금도 받고, 업무도 반값에 시키고 말입니다.
젊은 사원들은 정규직이라는 희망을 갖고 일하지만 얼마 안 가 그 희망이 꿈이라는 것을 깨닫고 맙니다.
외국에 있는 선생님들은 말합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하면서 업무 경험을 갖게 하는 건 회사들의 책임이라고 말입니다. 왜냐하면 젊은 사람들이 좋은 업무 경험을 갖을수록 그 사회의 전반적인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영어로 많은 이야기를 하다 보면 대한민국 사회가 왜 이렇게 살기가 팍팍해지고 있는지 어렴풋이 느껴집니다.
책임을 지지 않는 사회, 무한 경쟁 사회, 물질이 만능인 사회...
오랫동안 잘 사용했던 우리 집 소파에 TV를 보려고 앉으면 어디에선가 "삐걱~" 소리가 납니다. 어느 부분에서 나는 소리인지 찾아보았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사회가 우리 집 소파와 같이 느껴집니다. 어디에선가 종종 "삐걱~" 소리가 들립니다. 요즘은 더 자주 들리기 시작합니다.
저는 많은 기업들이 자기 비용으로 정규직 채용형 인턴 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신입사원도 많이 뽑아야 합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하지 못하고 경력직만 뽑으면 앞으로 몇 년 후에는 경력직을 뽑고 싶어도 뽑지 못할 겁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을 해야 경력직이 되는데, 일을 못하니 경력직이 있겠습니까?
요즘 영어를 배우며 대한민국 젊은이들을 위해 저 또한 일자리 만들기에 기여를 해야겠다고 다짐, 또 다짐합니다.
저는 아침 7시부터 40분 정도 매일 전화 영어스피킹을 하고 있습니다. 외국계 회사를 한참 다닐 때는 어느 정도 듣고 말하기를 나쁘지 않게 했지만, 4년 이상 영어에 손을 놓으니 영어 실력이 다시 원점이 된 것 같습니다.
저는 내년도에 실리콘벨리 VC들을 만나 제 AI 서비스의 장점을 설명하고 투자를 받고 싶어 2개월 전부터 매일 하루 40분씩 전화영어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저를 자랑하고 싶어 이 글을 쓰는 게 아닙니다.
전화영어를 하며 브라질 선생님, 필리핀 선생님, 미국 선생님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해 보면 한국 취업 문화에 모두들 놀랍니다.
저는 이야기합니다. 한국은 "신입사원을 뽑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대기업들마저 신입사원들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신입사원이라 해도 바로 직무에 투입할 수 있는 "중고 신입사원"들을 원합니다.
미국에서는 인턴을 "정규직 채용형"으로 뽑습니다. 미국 회사들은 젊은 사람들의 Job training 비용을 회사의 몫이자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대학생 때부터 방학을 이용해 많은 인턴 경험을 합니다. 그리고 졸업할 때 인턴 경험을 한 회사들로부터 Job offer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릅니다. 많은 인턴제 일자리가 "정규직 채용형"이 아닙니다. 인턴사원들을 시간제 근로자처럼 사용하다가 맙니다. (모두라고 말하는 게 아닙니다. 정규직 채용형 인턴제를 실시하는 좋은 회사들도 많습니다.)
일석이조입니다. 국가의 지원금도 받고, 업무도 반값에 시키고 말입니다.
젊은 사원들은 정규직이라는 희망을 갖고 일하지만 얼마 안 가 그 희망이 꿈이라는 것을 깨닫고 맙니다.
외국에 있는 선생님들은 말합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하면서 업무 경험을 갖게 하는 건 회사들의 책임이라고 말입니다. 왜냐하면 젊은 사람들이 좋은 업무 경험을 갖을수록 그 사회의 전반적인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영어로 많은 이야기를 하다 보면 대한민국 사회가 왜 이렇게 살기가 팍팍해지고 있는지 어렴풋이 느껴집니다.
책임을 지지 않는 사회, 무한 경쟁 사회, 물질이 만능인 사회...
오랫동안 잘 사용했던 우리 집 소파에 TV를 보려고 앉으면 어디에선가 "삐걱~" 소리가 납니다. 어느 부분에서 나는 소리인지 찾아보았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사회가 우리 집 소파와 같이 느껴집니다. 어디에선가 종종 "삐걱~" 소리가 들립니다. 요즘은 더 자주 들리기 시작합니다.
저는 많은 기업들이 자기 비용으로 정규직 채용형 인턴 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신입사원도 많이 뽑아야 합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하지 못하고 경력직만 뽑으면 앞으로 몇 년 후에는 경력직을 뽑고 싶어도 뽑지 못할 겁니다.
젊은 사람들이 일을 해야 경력직이 되는데, 일을 못하니 경력직이 있겠습니까?
요즘 영어를 배우며 대한민국 젊은이들을 위해 저 또한 일자리 만들기에 기여를 해야겠다고 다짐, 또 다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