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news주 52시간 예외? 반도체 특별법 '노동시간 규제 완화' 논란 심층 분석

2024-11-14
출처 : MBC뉴스

경쟁력 강화 vs 노동자 희생, 반도체 산업 '주 52시간 예외' 논란 격화

국민의힘이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연구개발(R&D) 종사자에게 주 52시간제 예외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혁신성장을 위한 특별법’(이하 반도체 특별법)을 당론으로 추진하면서 논란이 뜨겁다. 

삼성전자 출신 고동진 의원이 발의한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 일부개정법률안’ 역시 유사한 맥락에서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를 골자로 하고 있다. 

이 법안들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R&D 분야의 노동시간 유연화를 통해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그러나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장시간 노동이 생산성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경영진의 전략 실패를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과연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위해 주 52시간제라는 노동시간 규제의 빗장을 풀어야 할까, 아니면 노동자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대원칙을 지켜야 할까? 첨예하게 대립하는 양측의 주장과 근거를 심층 분석해본다.


여당 & 재계 "글로벌 경쟁 심화, R&D 속도전 위해 노동시간 유연화 필수"

반도체 특별법을 발의한 여당과 이에 찬성하는 재계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R&D 분야의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노동시간 규제 완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미국 엔비디아와 같은 경쟁 기업들이 장시간 노동을 통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을 예로 들며, 한국도 주 52시간제라는 규제에 묶여서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신속한 의사결정과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중요한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노동시간 유연화를 통해 연구 효율을 높이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이철규 의원 등이 발의한 반도체 특별법안에는 신상품 또는 신기술 연구개발 종사자의 경우 노사 합의를 통해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규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즉, 노사 합의만 있다면 사실상 무제한적인 노동시간 연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재계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며, 미국에서 시행 중인 ‘화이트칼라 이그젬션’과 같은 제도 도입을 통해 고소득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노동시간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이트칼라 이그젬션은 연봉 10만 7432달러(약 1억 5000만원) 이상의 고소득 노동자에게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제도로, 재계는 이를 통해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노동계 & 전문가 "장시간 노동, 생산성 저해…경영 실패 책임 전가"

반면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장시간 노동이 오히려 생산성을 저해하고, 경영진의 전략적 실패를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행위라고 비판한다. 

한국은 이미 OECD 국가 중 연간 노동시간이 가장 긴 국가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생산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은 1901시간으로 OECD 평균인 1746시간, 미국의 1804시간보다도 길다. 이들은 현행법상 선택근로시간제, 탄력근무제, 재량근로시간제 등을 활용하면 이미 주 80시간, 심지어 무제한 노동까지 가능한 상황에서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은 불필요한 규제 완화라고 지적한다. 

오히려 장시간 노동은 노동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악화시켜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한 반도체 산업의 부진을 단순히 노동시간 부족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삼성전자의 경우 SK하이닉스보다 HBM 개발에 뒤늦게 뛰어든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 실패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즉,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과 전략 부재를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으로 메꾸려는 시도는 부당하다는 것이다. 미국 엔비디아의 사례 역시 장시간 노동의 효과를 입증하는 근거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엔비디아는 높은 연봉과 스톡옵션 등 파격적인 보상 체계를 통해 직원들의 장시간 노동을 유도하고 있다. 단순히 노동시간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보상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노동시간 단축,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까? 논쟁 지속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OECD 국가의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근로시간과 근로시간당 부가가치 산출(GDP)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즉, 노동시간이 짧은 국가일수록 노동생산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업무 환경 조성,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자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미국 IT 교육 프로그램 제공업체 풀스택아카데미의 조사 결과 역시 테크 기업의 노동시간과 영업이익률 간에 명확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일과 삶의 균형이 좋다고 평가받는 기업이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반면, 퀄컴처럼 일과 삶의 균형이 나쁜 기업도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오히려 반도체 업계가 노동시간을 줄여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해야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맥킨지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은 다른 테크 기업이나 자동차 회사 종사자들보다 일과 삶의 균형과 고위 경영진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이는 반도체 업계가 인재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워라밸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요구에 맞춰 근무 환경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 진정한 경쟁력 강화 위해서는 '노동자 존중' 기반의 정책 필요

반도체 특별법의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은 단순히 노동시간 규제 완화를 넘어, 노동자의 기본권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노동자의 워라밸을 보장하고 창의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진정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노동자의 희생이 아닌, 노동자 존중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에 달려 있다. 정부와 기업은 노동시간 규제 완화라는 손쉬운 해결책에 매달리기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와 노동자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균형 잡힌 정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